2021-04-26 14일차
2021. 4. 26. 23:29ㆍ공부 기록
collections 모듈에 Counter 클래스, most_common함수
- counter = collections.Counter(my_str).most_common()
- collections모듈에Counter클래스 를 불러 my_str이라는 문자열 넣으면 문자열을 한글자씩 쪼개서 가장 많이 입력된 값이 어떤건지 순서대로 알려준다 입력된 값이 어떤건지 순서대로 알려준다
- [('d', 3), ('a', 1), ('s', 1)] 문자열이 key, 입력횟수가 value 형태의 2차원 배열로 들어간다
URI URL
- URI 는 네트워크 상 자원을 가리키는 일종의 고유 식별자(ID) 이다.
- https://프로토콜까지 포함해서 URI 라고 한다
- URL, URN 은 URI 에 포함되는 개념이며 URL 은 자원의 위치, URN 은 자원의 이름 을 의미한다.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41253&no=336&weekday=fri
- scheme://host:port/path?query
- scheme:// = https:// (프로토콜)
- host:port = comic.naver.com (호스트 즉 IP주소)
- port 번호는 브라우저가 프로토콜 요청에따라 자동으로 입력해줘 생략되어있다
- path = webtoon/detail.nhn (폴더이름/파일이름)
- 이 경우에는 webtoon이란 폴더안에 detail.nhn 이라는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요즘엔 아닌경우도 있다고 하지만 가장 기초적인 방식은 이렇다
- query = titleId=641253&no=336&weekday=fri (path에 입력하는 입력값이다)
- detail.nhn 이라는 파일에 641253라는 titleId 값, 336이라는 no 값, fri 라는 weekday값을 입력받은것이다
- 네이버 금요 웹툰 641253 의 336화 라고 유추할수 있는것이다
- detail.nhn 이라는 파일에 641253라는 titleId 값, 336이라는 no 값, fri 라는 weekday값을 입력받은것이다
- scheme://host:port/path?query
'공부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4-28 16일차 (0) | 2021.04.29 |
---|---|
2021-04-27 15일차 (0) | 2021.04.27 |
2021-04-25 13일차 (0) | 2021.04.25 |
2021-04-23 11일차 (0) | 2021.04.23 |
2021-04-22 10일차 (0) | 2021.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