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1)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뭔가요?
데이터와 기능이 클래스라는곳에 모인것을 객체라고 한다 인터페이스를 장착한 클래스는 반드시 장착한 인터페이스 안에있는 메소드들을 정의해야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에서는 클래스의 상속을 할수있는데 이를 통해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클래스를 상속받고 새로 추가할 기능들만 따로 추가해서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어낼수있다 www.youtube.com/watch?v=vrhIxBWSJ04
2021.04.18 -
쿠키, 세션, 캐시가 뭔가요
쿠키 :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사용자의 정보들을 담아두는 곳 사용자 혹은 타인이 접근하기 쉬워 중요한 정보가 아닌 노출되어도 큰 상관이없는 정보들을 저장한다 세션 : 관리자가 직접 관리해야할 중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곳 캐시 : 이미지 파일같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할것 같은 정보들을 임시로 중간 서버나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해두는 곳 www.youtube.com/watch?v=OpoVuwxGRDI
2021.04.18 -
프로세스는 뭐고 스레드는 뭔가요?
흔히 .exe 같은 실행파일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프로세스라고 한다 그리고 실행되고있는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여러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게되는데, 그 작업들을 스레드라고 부른다. 스레드를 다루는 프로그래밍을 할때 주의해야할 점이 있는데 하나의 버튼을 서로다른 스레드가 동시에 누를경우 실제로는 2번의 코드가 실행되지만 표기에는 1번의 실행만 표기될수 있기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iks_Xb9DtTM
2021.04.18 -
공부기록, 2021-04-15
문제 : 딕셔너리의 이름표에는 문자열과 숫자형, 튜플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값으로는 어떤 자료형이 오던 상관 없습니다. 이번 문제에서는 값에 들어갈 자료형으로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음 코드를 실행해서 확인해 보세요. 풀이 : # ↓ 이름표는 문자열 또는 숫자를 주로 사용하지만 dict = { "이름표" : 1111 } # ↑ 값은 리스트를 포함해서 무엇이든 올 수 있습니다. print( dict["이름표"] )
2021.04.15 -
공부기록, 2021-04-14
문제 : enumerate는 리스트가 있는 경우 순서와 리스트의 값을 전달하는 기능을 합니다. 아래의 예를 참고하여 문제를 해결해 보세요. 풀이 : rainbow=["빨","주","노","초","파","남","보"] for i,color in enumerate(rainbow) : print('{}번째 색은 {}'.format(i+1,color))
2021.04.15 -
공부기록, 2021-04-13
문제 : 리스트 rainbow의 마지막 값을 이용해서 무지개의 마지막 색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3번째줄이 last_color에 rainbow의 마지막 값을 저장하도록 수정해 보세요 풀이 : rainbow=['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 last_color = rainbow[-1] print('무지개의 마지막 색은 {}이다'.format(last_color) )
2021.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