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기록(86)
-
공부기록, 2021-04-20
코틀린에서 숫자를 입력받고 그 숫자를 bubbleSort로 정렬하는 알고리즘을 풀어보았다 == 프로그램 시작 == 숫자(띄워쓰기로 구분) : 3 0 1 8 7 2 5 4 6 9 오름차순 정렬 결과 : 0 1 2 3 4 5 6 7 8 9 내림차순 정렬 결과 : 9 8 7 6 5 4 3 2 1 0 == 프로그램 끝 == fun main(){ println("== 프로그램 시작 ==") print("숫자(띄워쓰기로 구분) : ") val numbers = readLine()!!.trim().split(" ").map { it.toInt() }.toMutableList() bubbleSort(numbers) print("오름차순 정렬 결과 : ") printNumbers(numbers) print("내림차순 정..
2021.04.20 -
공부기록, 2021-04-19
문제 : 아래와 같이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세요. == 프로그램 시작 == 숫자 개수 : 2[엔터] 2개의 숫자를 입력 받습니다. 1번째 숫자 : 44[엔터] 2번째 숫자 : 22[엔터] 입력이 완료되었습니다. 1번째로 입력된 숫자 : 44 2번째로 입력된 숫자 : 22 입력하신 숫자의 합은 66 입니다. 입력하신 숫자의 평균은 33 입니다. == 프로그램 끝 == 풀이 : fun main() { println("== 프로그램 시작 =="); print("숫자 개수 입력 : ") var numCount = readLine()?.trim()?.toInt()?: 0 var numbers = IntArray(numCount) {0} println("${numCount}개의 숫자를 입력받습니다") for..
2021.04.19 -
공부기록, 2021-04-18
문제 : 숫자 a, b가 주어졌을 때 a를 b로 나눈 몫과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해보세요. 풀이 : a, b = map(int, input().strip().split(' ')) print(a // b, a%b)
2021.04.19 -
공부기록, 2021-04-17
문제 : products의 상품명과 값을 한 줄씩 출력하도록 코드의 4번째줄의 빈칸을 채워 보세요. 풀이 : products = {"풀" : 800, "색종이": 1000} for product_detail in products.items(): print("{}의 가격: {}원".format(*product_detail ))
2021.04.19 -
공부기록, 2021-04-16
문제 : for in문을 이용해서 days_in_month의 이름표(key)를 한줄씩 출력해 보세요. 풀이 : days_in_month = {"1월":31, "2월":28, "3월":31, "4월":30, "5월":31} for key in days_in_month: print(key)
2021.04.19 -
공부기록, 2021-04-15
문제 : 딕셔너리의 이름표에는 문자열과 숫자형, 튜플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값으로는 어떤 자료형이 오던 상관 없습니다. 이번 문제에서는 값에 들어갈 자료형으로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음 코드를 실행해서 확인해 보세요. 풀이 : # ↓ 이름표는 문자열 또는 숫자를 주로 사용하지만 dict = { "이름표" : 1111 } # ↑ 값은 리스트를 포함해서 무엇이든 올 수 있습니다. print( dict["이름표"] )
2021.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