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1)
-
2021-05-01 19일차
코틀린 파일 읽기 val path = "파일 생성한 경로" try{ val read = FileReader(path) } catch(e:Excption){ println(e.message) }
2021.05.03 -
2021-04-30 18일차
코틀린 파일 쓰기 val path = "파일 생성 경로" val text = "파일 내용" val writer = FileWriter(path , true) try{ writer.write(text) } catch(e: IOException){ } finally{ writer.coles() }
2021.05.03 -
파이썬을 파이썬 답게 flag OR else
import math numbers = [int(input()) for _ in range(5)] multiplied = 1 for number in numbers: multiplied = multiplied * number flag = True if math.sqrt(multiplied) == int(math.sqrt(multiplied)): flag = False print('found') break if flag: print('not found')
2021.04.29 -
팽이처럼 돌면서 개발한다? - 나선형 모델
나선형 모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나선형 모델이란, 계획 및 정의 -> 위험 분석 -> 개발 -> 고객의 SW평가 순으로 윤회하며 개발하는것을 말하는데 고객의 SW평가에서 추가반복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장점으로는 정확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위험부담이 감소되고 품질을 확보할수있다 대규모 시스템 개발시 적합하다 단점으론 프로잭트 관리에 많은시간이 소요되고 과정이 복잡하여 관리가 어렵다 또 위험 관리 능력에따라 성공 여부가 갈릴수있다 다수고객을 상대하는 상용제품 개발에는 부적절하다 www.youtube.com/watch?v=Nn_lUDUV4wc
2021.04.29 -
폐기할 소프트웨어를 일부로 만든다고? - 프로토타이핑 모델
프로토타이핑 모델이란 고객에게 보여주고 피드백을 받기위한 일종의 시제품 같은것이다 실험적 프로토타이핑과 진화적 프로토타이핑이 있는데 실험적 프로토타이핑은 프토로타이핑모델을 실제 계발에서는 폐기하고 실제소프트웨어는 새로 만드는것이고 진화적 프로토타이핑은 프로토타이핑모델을 순차적으로 진화시켜가며 최종 소프트웨어까지 도달하는것을 말한다 프로토타이핑 모델을 사용하면 고객요구사항 응대가 쉬워지지만 단점으로는 고객이 과도한 요구를 하거나 프로토타입모델을 완제품으로 오해하는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www.youtube.com/watch?v=o0DKY9NKjK0
2021.04.29 -
애자일무새에게 던지는 직구, 폭포수 모델의 장점은? | 궁금쓰크럼 Ep 2. 애자일 VS 폭포수 모델
애자일, 폭포수 모델을 어떤때에 사용하면 좋은지를 알아보았다 복합적인 경우엔 애자일방식이 좋고 단순한 경우엔 폭포수모델을 선택하는것이 좋다 www.youtube.com/watch?v=d747ue6iY-Y
2021.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