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1)
-
객체지향 디자인패턴 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디자인 패턴인 Singleton, Strategy, State, Command, Adapter, Proxy 들에대해 알수있었다 www.youtube.com/watch?v=lJES5TQTTWE
2021.04.27 -
도커가 뭐고 왜 쓰는건가요?
git이 소스코드를 저장하는 저장소라면, 도커는 개발환경을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git처럼 도커hub에 개발환경, 서버환겨을 저장해두고 새로운 서버로 이전하거나 서버를 늘리거나 할때 도커hub에 저장해둔 환경을 불러올수가 있다 www.youtube.com/watch?v=tPjpcsgxgWc
2021.04.27 -
try? catch? 예외처리란 뭐 하는 건가요?
try, catch, finally try로 실행할 코드를 감싸서 오류가 나도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게 하고 catch에서 어떠한 오류가 발생하면 그 오류에대한 처리를 어떻게 할것인지를 지정해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finally에서는 try,catch에서 바로 return되어 아래 코드들을 실행할수 없는경우 마지막에 무조건 실행하고 코드를 끝내도록 해주는 일종의 장치이다 www.youtube.com/watch?v=LQ182IQZfW8
2021.04.27 -
2021-04-26 14일차
collections 모듈에 Counter 클래스, most_common함수 counter = collections.Counter(my_str).most_common() collections모듈에Counter클래스 를 불러 my_str이라는 문자열 넣으면 문자열을 한글자씩 쪼개서 가장 많이 입력된 값이 어떤건지 순서대로 알려준다 입력된 값이 어떤건지 순서대로 알려준다 [('d', 3), ('a', 1), ('s', 1)] 문자열이 key, 입력횟수가 value 형태의 2차원 배열로 들어간다 URI URL URI 는 네트워크 상 자원을 가리키는 일종의 고유 식별자(ID) 이다. https://프로토콜까지 포함해서 URI 라고 한다 URL, URN 은 URI 에 포함되는 개념이며 URL 은 자원의 위치, U..
2021.04.26 -
가장 많이 등장하는 알파벳 찾기
collections 모듈에 Counter 클래스, most_common함수 사용해보기 Counter을 이용해 my_str으로 입력받은 값중 가장 많이 입력된값을 most_common를 사용해 Counter 클래스, most_common함수 사용해보기 Counter을 이용해 my_str으로 입력받은 값중 가장 많이 입력된값을 most_common를 사용해 데이터 개수가 많은순으로 정렬시킨 배열로 만든다 반복문으로 counter 변수에 선언하여 저장된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한다 조건문으로 counter[i][1] == counter[0][1] 를 주면 반복문이 돌때마다 counter에 들어있는 i번째값의1번 인덱스값인 value값이 counter[0][1] (most_common() 로 데이터 개수가 많은순..
2021.04.26 -
순열과 조합순열과 조합
파이썬 내장함수인 permutations를 써봤다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def solution(mylist): answer = list(map(list, permutations(mylist))) answer.sort() return answer
2021.04.26